- CAP 이론

생략

 

 - PACELC 이론

CAP 이론을 대체하기 위해 나온 이론이다. CAP 이론은 정상 상황일때를 서술하지 못한다.

Partition(네트워크 장애 상황)되면 A(availability) or C(consistency)를 골라야하고, E(else - 아니면) L(latency) or C를 골라야한다는 말에서 PACELC가 되었다. 분산 DB에서 파티션일때 C를 포기하고 A를 선택해서 모든 DB에 반영하기보다는 접근 가능한 노드에만 반영하면 PA, 반대로 기다려서 C를 선택하면 PC 이며, 정상상황일때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몇몇 DB에만 반영하면 L를 선택하므로 EL, 모든 DB에 반영하기 위해 기다리면 EC이다.

 

http://eincs.com/2013/07/misleading-and-truth-of-cap-theorem/

https://ohjongsung.io/2019/05/01/cap-%EC%9D%B4%EB%A1%A0%EA%B3%BC-pacelc-%EC%9D%B4%EB%A1%A0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golden gate 19c 예제  (0) 2020.08.28
DB transaction isolation level  (0) 2020.04.03
Kafka의 exactly-once semantic  (0) 2019.11.21
Load Balancer  (0) 2019.08.03
Posted by sjo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