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센서를 사용한 논문들을 먼저 소개한다.
--------시중 제품 사용----------------
1. "The use of a dynamic real-time jaw tracking device and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simulation", 2016
SICAT 제품을 이용하여 하악의 움직임을 여러 날에 걸쳐 분석한 것을 알려준다. CT 영상을 이용하여 SICAT의 센서 데이터에 따라 하악이 얼마나 이동하는지 그림과 표를 이용해서 자세히 보여준다.
2. "Evaluation of Mandibular Movement Functions Using Instrumental Ultrasound System", 2015
Arcus Digma 제품을 이용하여 TMD(TMJ disorder) 없는 젊은 사람 84명에 대한 하악의 움직임을 표와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3. "A New Virtual Dynamic Dentomaxillofacial System for Analyzing Mandibular Movement, Occlusal Contact, and TMJ Condition", 2007
특이하게도 VTK, OpenGL과 초기 Arcus Digma 제품, CT 영상을 사용해서 condylar head의 움직임 경로, 상하악 치아간 거리의 컬러맵 시각화, condylar head와 fossa간 거리의 컬러맵 시각화를 보여주었다. 2007년 치고는 좋은 해상도에서 좋은 그래픽스 테크닉으로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여준 논문이다.
---------자체 제작 센서 사용-------------------
1. "Current status of researches on jaw movement and occlusion for clinical application", 2009
10마이크로미터 정확도의 3축 코일 센서를 잇몸에 부착하고, cast model을 스캐닝해서 움직임을 보여준다. 하악의 움직임을, 접번축의 움직임으로 생각하여 이 축을 구할 수 있는데, 이렇게 구한 접번축은 Kinematic axis이고, 실제로 접번축(Hinge axis)가 아님을 설명해준다. 이외에도 상악의 하악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분석하는 내용 등이 있어 알찬 논문이다.
2. "Modelling of mandibular movement", 2008
cast model을 스캔하고 하악, 상악에 tracking 센서(오차 약 100마이크로미터)를 붙여서 움직임을 구현하고 기록된 경로를 보여준다. X-ray 테크닉이 사용되지 않은 점이 주목할만 하다. 수학적인 모델링으로 접번축을 구했고, occlusion path(balance side, working side) 경로를 어금니 릿지 중심에서 보여주기도 하였다. 턱관절 구성요소 움직임의 수학적 분석과 sweep surface 시각화 등이 인상깊은 논문이다.
---------특이한 센서 사용-----------
1. "Real‐time mandibular movement analysis system using four‐dimensional cranial bone model", 2006
적외선 센서를 모션 캡쳐하는 제품 Polaris(Northern Digital, Inc.)를 사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얻는다. 이후 CT 영상에 적용하여 그 움직임을 컴퓨터에 적용시키고, condylar head와 mandibular fossa부분을 따낸 두 surface간의 최단거리를 컬러 맵으로 보여준다.
2.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the craniofacial patient: volume segmentation, data integration and animation", 2003
CT 영상과 JMA(Jaw Motion Analyzer)를 이용하여 하악 움직임을 시각화한 초기의 시도. 옛날 논문이라 CT 해상도가 낮지만 기초적인 내용이 잘 들어가있다. JMA는 Arcus Digma 같은 모션 센서 이전의 프로토타입같은 모델인듯 하다.
3. "The virtual craniofacial patient: 3D jaw modeling and animation.", 2003
제 1저자인 Reyes Enciso가 논문을 여러 번 뽑아먹기 위해 그랬는지, 바로 위 2번 논문과 거의 비슷한 내용이다. 여기서는 JMA로 애니메이션을 보여주었다. 옛날 논문인데 inverse kinematics로 condylar axis를 예측한 것이 주목할만 하다.